헬스케어
“설 음식, 꼭꼭 씹어 드세요”...명절 ‘기도 막힘’ 주의보

소방청 구급 통계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떡·음식 등으로 인한 ‘기도 막힘’ 사고 출동 건수는 총 1290건으로 집계됐다. 심정지 인원은 415명이다.
기도 막힘 사고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 고령층이 921명으로 전체의 83.4%를 차지했다. 피해자 10명 중 8명이 60세 이상인 것이다.
설 연휴 기간 기도 막힘 사고로 이송한 인원은 25명이다. 연평균 연휴기간 하루에 한 명 꼴로 ‘기도 막힘’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실제 지난 19일 경찰 등에 따르면 강원도 춘천 남면의 한 노인정에서 A(91)씨가 인절미를 먹다 실신하며 심정지 상태에 빠졌다. 지인이 곧장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으나, A씨는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앞서 같은날 오전 10시18분 경에더는 정선 사북면의 한 교회에서 B(70)씨가 인절미를 먹은 후 심정지가 상태에 빠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 당국은 B씨를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끝내 숨졌다.
지난해 2월 12일 설 연휴 기간 중 소방청은 충남 논산의 한 요양원에서 이물질이 목에 걸린 80대 남성의 신고를 접수받았다. 당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상담 요원은 영상통화로 환자 상태를 확인 후 ‘하임리히법’을 안내해 기도 내 이물질을 제거한 사례도 있다.
소방청은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기도폐쇄 응급처치법인 ‘하임리히법’을 익혀둘 것을 강조했다.
하임리히법은 음식이나 이물질로 인해 기도 막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뒤에서 감싸 안고, 명치끝과 배꼽 사이를 주먹을 쥔 채 힘껏 밀어 기도에 걸린 이물을 배출하는 응급처치법이다.
체중이 10kg 미만이고 1세 이하의 영아는 이 같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아이의 경우 방법이 다르다. 먼저 머리를 45도 각도의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뒤, 손으로 가슴을 받친다. 이후 등을 세지 않게 손바닥으로 5번 두드리고, 검지와 중지를 이용해 영아의 젖꼭지 중앙을 강하게 누르며 이물질 배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20분간 거꾸로 매달린 뒤 사망…태권도 관장은 “장난”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아깝다!' 황선우, 세계선수권 자유형 200m 4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K반도체·조선, 한미 관세협상 지렛대…JY '민관 총력전' 가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보수적 기조 유지했던 교정공제회, 연내 부동산 투자 나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제3국으로”…틈새시장서 노다지캐는 K바이오①인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